No menu items!
Home복지 생활정보의료급여 개편, 달라지는 점은? (정률 정액 본인부담 건강생활유지비 등)

의료급여 개편, 달라지는 점은? (정률 정액 본인부담 건강생활유지비 등)

의료급여 개편, 달라지는 점
의료급여 개편, 달라지는 점

의료급여 개편, 달라지는 점

보건복지부가 2025년 10월부터 의료급여 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편합니다. 기존의 단순 지원 중심에서 벗어나, 수급자의 건강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이 전환됩니다.

구분기존 제도개편 후(2024년 10월~)
본인부담 구조정액제(의원 1,000원, 약국 500원 등)정률제(의원 4%, 약국 2% 등)
월 본인부담 상한5만원5만원(동일)
1회 본인부담 상한없음외래 2만원, 약국 5천원
과잉진료(연 365회↑)동일본인부담률 30% (일부 예외)
부양비 기준30% 또는 15%10%로 완화, 수급자 확대
건강생활유지비월 6,000원월 12,000원
정신질환 지원제한적입원료·격리보호료 신설, 외래상담 주 7회
본인부담 면제 대상산정특례, 18세 미만, 임산부중증치매·조현병 환자 추가
관리체계외래·입원·투약 일수 합산외래·입원·투약 별도 관리

의료급여 개편의 핵심 포인트

  • 본인부담 정률제 도입
    의원 4%, 종합병원 6%, 상급종합병원 8%, 약국 2% 등 진료비에 비례해 본인부담금이 산정됩니다.
  • 월 상한제 및 1회 상한제 병행
    월 본인부담금 5만원 상한은 유지하며, 1회 외래 2만원, 약국 5천원 상한이 신설되어 고액진료 부담을 줄입니다.
  • 과잉진료 억제
    외래 연 365회 초과 시 본인부담률 30% 적용(아동, 임산부, 중증장애인 등은 예외).
  • 수급자 확대
    부양의무자 소득 중 부양비 기준을 10%로 낮춰 더 많은 저소득층이 의료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정신질환자 지원 강화
    정신과 입원료·격리보호료 신설, 외래 상담치료 주 7회까지 확대.
  • 건강생활유지비 인상
    월 6,000원에서 12,000원으로 2배 인상.
  • 본인부담 면제 대상 확대
    기존 산정특례, 18세 미만, 임산부에 더해 중증치매·조현병 환자도 외래 본인부담 면제 대상에 포함.
  • 관리체계 개편
    외래, 입원, 투약을 별도로 관리해 맞춤형 급여관리체계로 전환.

시행 일정 및 참고사항

  • 2025년 10월: 본인부담 정률제, 1회 상한제, 건강생활유지비 인상 등 주요 개편안 시행
  • 2026년 1월: 외래 연 365회 초과 본인부담 차등, 중증치매·조현병 본인부담 면제 등 추가 적용

알아두면 좋은 점

  • 본인부담금이 진료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, 월 상한제와 1회 상한제가 있어 급격한 부담 증가는 방지됩니다.
  • 건강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이 한층 강화됩니다.
  • 의료급여관리사의 역할이 ‘급여일수 관리’에서 ‘수급자 건강지원’ 중심으로 확대됩니다.

요약

  • 의료급여 제도가 ‘지원’에서 ‘건강 중심’으로 전면 개편됩니다.
  • 본인부담 정률제, 상한제 신설, 수급자 확대, 정신질환자 지원 강화 등 다양한 변화가 있습니다.
  • 2024년 10월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되니, 미리 제도 변화를 확인해두세요!
RELATED ARTICLES

Most Popular

Recent Comments